Kotlin 메소드. 함수 선언하는 방법

2021. 3. 26. 15:49코풀듯 푸는 코틀린(Kotlin)

728x90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함수 선언 시간 입니다 메소드 라고 하죠?

 

함수를 선언하기 위한 변수 선언이기도 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예시와 함께 첫걸음을 떼는 것을 목표로 하겠습니다

 

 

 

 

함수라는 것은 반환 이라는 개념으로 정의가 가능해요

 

어떤 것을 투입하면 어떤 것을 산출합니다 코틀린에서는 Function의 의미로

 

간단한 예시가 있지만 변수 선언과 크게 다를게 없어보이죠? 지금은 그렇습니다

 

아래를 계속 보실까요?

 

 

 

 

 

코틀린은 Function의 의미로 fun이 선언 키워드가 됩니다

 

꼭 변수명 옆에 타입을 적을 필요는 없지만(자료형 추론에 의해서) 반환하기 위해서는

반환형에는 반드시 타입을 적어주어야 합니다

 

함수내용과 리턴 값을 넣어주게 되면 기본 골격이 끝나게 되죠

 

예제를 볼까요?

 

 

 

 

 

plus 라는 함수를 선언했습니다. a와 b가 int 라고 선언했고 리턴타입도 int 로 나오게 설정해놨군요

 

c는 int 이며 a + b 라는 의미로 c 변수를 선언했습니다

 

이제 c를 내보내 주어야겠죠? 마치 공장초기 결과물 처럼 말이에요

 

하지만 c는 형태만 갖고 있을 뿐 아무런 값이 없습니다

 

이제 fun main으로 내려와보겠습니다

 

c 함수는 plus 이며

값을 10, 20 이라고 작성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a: 와 b: 라는게 따라 붙는데요

바로 plus 함수에서 선언하는 그 구조를 의미합니다 제대로 값을 주었단 뜻이겠죠

prl()로 출력하게 c 변수를 출력하게 되면

 

10 + 20 = 30

 

30을 정상 출력하게 됩니다

 

* println()은 fun plus에 있어도 fun main에 있어도 상관 없습니다.

 

 

 

 

하지만 함수가 a와 b 늘 두개만 있는 것은 아니겠죠

 

인수를 명시적으로 부여할 수 있습니다

 

a = 10, b = 15, c = 35 라고 작성해도 정상 작동합니다

 

이렇게 명시적으로 작성할 경우,

 

c = 35, a = 10 .. 이런 식으로 순서를 바꾸어도 제대로 들어가게 됩니다

 

 

 

 

 

오늘은 함수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 포스팅에서 더욱 알찬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